Page 162 - ebook
P. 162

부록_관련법령




























               2) 냉동설비가 다음 각 목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제1호에 따라 산정한 각각의 냉동능력을 합산한다.
                  가. 냉매가스가 배관에 의하여 공통으로 되어 있는 냉동설비
                  나. 냉매계통을 달리하는 2개 이상의 설비가 1개의 규격품으로 인정되는 설비 내에 조립되어 있는 것(Unit형의 것)
                  다. 2원(元) 이상의 냉동방식에 의한 냉동설비
                  라. 모터 등 압축기의 동력설비를 공통으로 하고 있는 냉동설비
                  마. 브라인(Brine)을 공통으로 사용하고 있는 2개 이상의 냉동설비(브라인 중 물과 공기는 포함하지 아니한다)


               냉동기를 제조하고자 하는 사람은 다음의 시설ㆍ기술ㆍ검사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고법 시행규칙 별표 11).


             3. 냉동기 제조의 시설ㆍ기술ㆍ검사기준
               냉동기 제조의 시설ㆍ기술ㆍ검사 기준(고법 시행규칙 별표 11)
               (제2조제4항제6호, 제9조제3호, 제28조제3항제8호 및 제43조제1항제3호 관련)


             1) 시설기준
               가. 냉동기를 제조하려는 자는 이 별표의 기술기준에 따라 냉동기를 제조하기 위하여 필요한 제조설비를 갖출 것. 다만, 규
                  칙 제5조제2항제3호에 따른 기술검토 결과 부품생산 전문업체의 설비를 이용하거나 그로부터 부품을 공급받더라도
                  품질관리에 지장이 없다고 인정된 경우에는 그 부품생산에 필요한 설비를 갖추지 않을 수 있다.
               나. 냉동기를 제조하려는 자는 이 별표의 검사기준에 따라 냉동기를 검사하기 위하여 필요한 검사설비를 갖출 것


             2) 기술기준
               가. 냉동기의 설계는 그 냉동기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고압가스의 종류ㆍ압력ㆍ온도 및 사용환경에 따라 적
                  합하도록 할 것.
               나. 냉동기의 재료는 그 냉동기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고압가스의 종류ㆍ압력ㆍ온도 및  사용환경에 적절
                  한 것일 것
               다. 냉동기의 두께는 그 냉동기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그 냉동기에 사용한 재료, 그 냉동기 내의 고압가스의 종류ㆍ
                  압력ㆍ온도 및 사용환경에 적합한 것일 것
               라. 냉동기의 구조는 그 냉동기의 안전성 및 편리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그 냉동기 내의 고압가스의 종류ㆍ압력ㆍ온도 및
                  사용환경에 적합한 것일 것
               마. 냉동기의 가공은 그 냉동기의 기계적 강도 및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그 냉동기의 재료ㆍ두께 및 구조에 따라 적절





                                                          + 0160 +
                                                     @2021/22 HVAC & R Directory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